[스크랩] 테이크 어웨이의 목적 이해와 그 방법
알고보면 별 것 아닌데 많은 골퍼들이 의외로 힘들어 하는 부분이 이 테이크어웨이가 아닌가 합니다. 우리가 망치나 도끼질을 할 때를 상상해보면 망치나 도끼를 뒤로 들어올리는 이유는 순전히 못을 잘 박기위해서나 장작을 한방에 두동강내기 위한 동작입니다. 어느 정도 익숙해지면 신경도 않쓰는 부분이기도 하지요. 골프 클럽을 뒤로 스윙하는 것도 마찬가지 입니다. 클럽 타구면을 공쪽으로 힘껏 내려치기 위해서 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공은 클럽을 휘두르는 와중에 맞아 나간다고 생각하고 스윙 궤도나 스윙 평면을 다듬는데 신경을 쓰지만 사실은 골프스윙은 클럽을 던져 공을 가격하는 것에 더 가깝습니다. 백스윙 탑에서 공쪽으로 던지기에 스윙궤도와 스윙평면이 나오는 것이지 스윙궤도와 스윙평면을 잘 다듬는다 해서 클럽이 공쪽으로 잘 던져지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가 연습을 하면서 만족스러운 구질을 위해 여러가지를 지적받고 많은 생각을 하지만 실제로 "공을 치다" 라는 직접적인 감과는 거리가 먼 이곳 저곳의 동작과 느낌에 지나치게 치우쳐있는 것이 아쉬운 현실입니다. 테이크어웨이는 사실 공을 던지기 위해 준비하는 과정 혹은 못을 박기 위해 준비하는 과정과 같이 지극히 개인적이고도 본능적인 부분이라는 것은 우리 모두 공감함에도 불구하고 지나치게 그림을 그리듯 접근하는 것이 아닐까요? 공을 목표 방향으로 보내기 위한 테이크어웨이가 아니라 클럽의 타구면을 공쪽으로 내려치기 위한 테이크 어웨이라는 멘탈이미지의 변화가 선행되어야 생각없는 테이크어웨이가 가능하다고 봅니다.
그래도 굳이 테이크어웨이의 방법을 구분하자면 크게 두 가지 스타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번째 패턴은 스윙을 몸에 가장 멀고 바깥쪽인 클럽헤드 부터 스타트시키는 경우입니다. 아래 사진이 좋은 보기가 되겠습니다. 따라서 테이크어웨이를 주도하는 것은 손, 그중에서도 오른손이 되는데 오른손의 생명선이 왼손 엄지를 슬쩍 누르며 오른 손바닥이 자신의 정면을 향하고 코킹이 비교적 일찍 될 수 있는 스타일입니다. 한마디로 손, 팔, 어깨, 힙의 순서로 백스윙이 되는 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스윙을 몸의 중심에서 시작하는 패턴입니다. 아래 사진이 좋은 예인데요. 마치 오른발을 밟으며 시작하는 모습이 투수가 와인드 업하는 분위기와 흡사합니다. 왼팔이 오른팔 아래에 있는 시간이 길어 클럽페이스가 닫혀보이기도 하지만 스윙의 시작부터 원심력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클럽이 쳐지는 성향이 있다면 위의 방법보다는 이 방법이 왼팔 로테이션의 타이밍을 늦추기 때문에 도움이 될 수 있겠네요. 이 패턴은 테이크어웨이의 주체가 등 근육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손과 팔은 수동적이라 할 수 있는데 위의 패턴과는 반대로 몸, 팔, 손, 그리고 클럽의 순으로 스윙이 시작하는 형태입니다.
이 두 가지가 적절히 혼합된 형태의 테이크 어웨이도 가능하겠지요. 하지만 중요한 것은 내려치기 위해 혹은 공쪽으로 던지기 위해 백을 한다는 마음가짐이 중요합니다.
스윙 분석 전문가 배창효님의 글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