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미터 퍼트에 자신감을 갖는다
[강욱순 레슨]
프로들도 두려워하는 거리가 2m 다. 이곳에서 집어넣을 확률을 높인다면 여러분의 스코어는 크게 낮아질 것이다. 그렇지만 현장에서 그리 쉬운 것이 아니다. 목표방향으로 볼을 보내야 하는 타깃게임이라고 말하는 골프. 아마추어는 이 목표의식이 희박한 사람이 많은 것 같다. 직선으로 때려야하는지, 테이크백을 직선으로 할 것인지 등 볼을 치는 것에 너무 집중한다. 예를 들어 야구에서 투수는 볼이 아닌 포수의 미트를 보고 던진다. 만약 볼을 보고 던진다면 정확히 목표한 곳으로 던질 수 없기 때문이다. 퍼팅도 같다. 컵을 보면서 치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목표를 정확히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나는 볼을 너무 보지 않고 주변을 어렴풋이 보며 목표까지 볼을 굴리는 것을 생각하면서 친다.
| |
감기는 것은 어드레스에서 어깨가 열리기 때문이다
퍼팅에서 상당히 많은 미스 중 한가지는 왼쪽으로 감기는 현상이다. 그 원인 대부분은 어드레스에서 어깨가 열려있든지, 혹은 임팩트에서 몸이 움직이면서 어깨가 열리기 때문에 발생한다. 어드레스에서는 목표라인과 어깨라인이 평행하도록 주의한다. 그러면 스트로크 중에도 어깨는 열리지 않는다. 퍼트궤도는 직선으로 당겨 직선으로 밀어주는 것이 기본이다. 다만 그것은 항상 이미지일 뿐이다. 실제는 인사이드인의 완만한 원운동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어드레스에서 왼쪽 어깨가 열리거나 임팩트에서 왼쪽 어깨가 열리면 헤드궤도가 왼쪽 방향으로 향하면서 감긴다는 뜻이다. 즉 몸이 앞으로 쏠리면서 볼에 헤드를 갖다대거나 홀인을 확인하기 위해 고개를 일찍 들어주면서 이런 현상은 자주 일어난다. 그래서 오른쪽 어깨가 앞으로 나가 생긴다. 나는 손목을 고정한 채 어깨를 중심으로 스트로크한다.
| |
오른쪽으로 밀리는 것은 헤드업을 하기 때문이다
오른쪽으로 밀리는 것도 많은 미스 중 한가지다. 원인은 여러 가지를 생각할 수 있지만, 가장 큰 원인이라고 생각되는 것은 헤드 업이다. 볼을 히트하는 것보다 먼저 얼굴이 움직이면 시선이 흔들리면서 페이스가 열린다. 이때 더욱 헤드업하게 되어 궤도가 인사이드아웃이 되고 만다. 그리고 라인을 몇 번 확인하는 사이에 오른 어깨가 자신도 모르게 쳐지면서 시선이 오른쪽으로 향하면고 결국 인사이드아웃 궤도가 되기 쉽다. 라인을 확인할 때는 몸의 각도를 유지하고 얼굴방향만을 돌려주면서 확인하면 시선은 틀어지지 않는다. 어드레스를 취했다면 먼저 컵을 보면서 목표를 확인한다. 그 후 시선을 볼이 보이지 않는 곳에 두고 컵까지 굴러가는 것을 정확히 그리면서 테이크백하고 쳐본다. 그러면 헤드업이 방지되면서 원하는 라인대로 볼을 굴릴 수 있다. 이때도 나는 볼위치를 중앙, 체중배분을 5대5로 둔다. 그래야만 볼이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 |
잔디결의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해 다운블로우로 친다
2m 거리는 숏퍼트에 해당된다. 숏퍼트에서의 훅과 슬라이스 라인을 읽는 방법에 고민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숏퍼트에서는 라인을 너무 생각하지 않는 것이 좋다라고 생각한다. 라인을 넓게 해 컵에 넣는 방법은 라인을 읽는 법과 터치감의 두 가지가 동시에 퍼펙트하지 않으면 들어가지 않는다. 그래서 숏퍼트는 자신감을 갖고 약간 강하게 쳐라라고 흔히 말한다. 실제로는 두려워서 자신있게 스윙을 못하는 법이다. 그럴 때 내가 실천하는 것은 잔디결에 좌우되지 않는 강한 볼을 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볼 앞의 잔디를 미끄러지듯이 다운블로우로 볼을 히트해주는 것이다. 다운블로우로 치면 20cm정도의 앞쪽은 역회전이 걸리고 잔디 위를 미끄러지듯이 나가기 때문에 잔디결의 영향을 받지 않는 강한 볼이 된다. 반대로 어퍼블로우는 잔디결에 따라 볼을 보낼때 시도한다. 그 대신에 볼 흔적은 길지 않기 때문에 의외로 오버되지 않는다. 따라서 나는 라인이 애매할때는 과감하게 다운블로우로 친다. 그러면 의외로 좋은 결과를 얻는다.
| |
잔디결 대로 보내기 위해서는 어퍼블로우로 친다
감기는 현상과 푸시아웃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몸의 위치를 안정시키면서 낮게 움직여준다. 머리가 움직이거나 몸이 상하로 움직이면 다운블로우로 정확히 칠 수 없다. 다운블로우로 치면 볼에 역회전이 걸리고 볼이 나가는 20cm 앞 잔디위를 미끄러지듯이 나간다. 반대로 어퍼블로우로 치면 잔디결 대로 볼을 보내는데 유리하다. 이럴 때는 볼이 휘어지는 지점을 향해 어드레스를 하고 그곳으로 볼을 친다. 즉 휘어지는 정점을 향해 볼을 친다는 의미다. 이때도 손목을 사용하지 않도록 그립은 손바닥으로 쥔다. 이것은 스탠더드그립이거나 클로즈핸드라도 마찬가지다. 테이크백에서 손목을 사용하지 않고 낮게 올리며 폴로스루에서 약간 들어올려주면서 어퍼블로우로 친다. 그러면 잔디결을 따라 볼이 굴러가면서 홀인이 된다. |
|
2m 퍼트는 그립을 바꾼다 |
|
반드시 넣어야할 거리인 2m 전후의 숏퍼트. 긴 거리나 짧은 거리도 동일한 그립으로 쳐야하는가? 숏퍼트 전용 그립으로 바꿔 원퍼트 확률을 올려보라.
그립을 얕게 쥐면 어깨로 스트로크할 수 있고 방향성이 흔들리지 않는다 실전에서 프트 그립이 감기거나 밀리는 현상이 자주 일어난다. 원인은 너무 손목을 움직이는 것이다. 집어넣어야 한다는 생각이 손목을 움직인다. 멘탈 영향을 최소한 줄이기 위해 그립을 바꾸어 보라.
얕은 그립=숏퍼트에 적합 양손의 엄지손가락을 밖으로 하고 손바닥이 위를 향할 정도로 얕은 그립을 하면 손목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방향성이 중요한 숏퍼트 용이다
깊은 그립=롱퍼트 용 엄지손가락을 바로 위로 놓을 정도로 깊은 그립은 약간 손목을 움직이기 쉽기 때문에 거리감이 중요한 롱퍼트 용이다
그립 형태
양손의 엄지손가락을 밖으로 한 얕은 그립으로 손목과 팔꿈치를 고정한다 퍼트 그립은 샷을 할 때와는 다른 방법을 하는 사람이 많다고 생각한다. 그것도 양손의 마디를 볼 수 없도록 얕은 그립을 하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이런 얕은 그립을 하는 목적은 손목동작을 가능한 줄이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그 얕은 그립에 따라 손목 움직임에 차이가 생긴다. 나는 양손의 엄지손가락을 밖으로 하고 스트로크 중에 손목을 사용하지 않도록 손바닥이 약간 위를 향할 정도로 얕게 쥔다. 그래야 손목과 양팔꿈치를 고정하고 어깨로 스트로크할 수 있다는 의미다. 손목을 양쪽으로 고정시키면서 한 가지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느낌이므로 직선으로 당겨 직선으로 밀어주는 스트로크가 정확해진다.
왼손을 쥐는 법
왼손은 쥐는 순서를 고정하고 평상시처럼 쥐도록 왼손은 방향성을 가리키는 손이므로 항상 일정한 순서대로 쥐어야 한다. 요컨대 항상 일정한 순서대로 쥐는 것이 중요하다. 그때 가장 알아야할 것은 왼손바닥을 위로 향하도록 옆에서 쥔다. 위에서 감싸듯이 쥐면 엎어지도록 한다. 그때 손목과 샤프트 각도에도 주의하라. 그립 끝이 팔 앞을 따라 연결되도록 쥐길 바란다. 이 방법이 손목을 고정하기 쉽고 방향성이 흔들리지 않기 때문이다.
오른손을 쥐는 법
팜으로 쥐어도 핑거로 쥐어도 좋다. 가장 감각을 살릴 수 있는 그립으로 왼손은 방향성이고 오른손은 거리감을 담당하는데, 숏퍼트에서도 거리감을 맞추지 못하는 사람은 오른손 쥐는 법을 잘 못하고 있다는 것을 생각해야 한다. 터치감각은 그 사람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정석은 없다. 스스로 다양하게 시험해보는 사이에 찾을 수밖에 없다. 프로의 그립은 참고해도 자신에게 적합한지 여부는 그 사람의 문제다. 자신의 감각을 믿고 판단하기 바란다. 사람에 따라서는 손바닥으로 쥐고, 터치감을 만들어내는 사람도 있고, 손가락으로 쥐는 것이 좋은 사람도 있다. 밑에서 쥐거나 위에서 쥐어 터치를 내기 쉬운 오른손을 쥐기 바란다. | |
굴려서 2m를 집어넣는다 |
|
페이스를 올리면서 임팩트하고 작은 스윙폭으로 런이 좋은 볼을 친다
런이 좋은 볼은 잔디결에 영향을 받지 않는 만큼, 컵인 확률은 높다. 그래서 임팩트를 확실히 해야한다. 작은 스윙폭, 타점 등 포인트 몇가지를 소개한다.
스트로크 임팩트에서 느슨해지지 않는 테이크백은 작게, 폴로스루는 약간 크게 한다
현재 프로 대부분이 하는 동작은 어깨로 퍼팅한다는 점이다. 가능한 손목과 팔을 사용하지 않고 어깨 움직임만으로 스트로크하는 방법이다. 어깨로 하는 퍼팅은 스윙폭으로 거리감을 내는 방법인데, 리듬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면 이미지한 대로 거리를 보낼 수 있다. 그러면 테이크백이 너무 커지고 임팩트에서 맞추거나 역으로 작아져 임팩트에서 수정해야하는 동작이 된다. 이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폴로스루에 비해 테이크백을 마음속으로 약간 작게 한다. 그러면 임팩트가 느슨해지지 않고 역으로 불필요한 펀치동작이 들어가지 않는다. 일정한 리듬으로 스트로크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런 동작을 할 때의 주의할 점이 한가지 있다. 폴로스루를 크게 하는 만큼, 스탠스를 약간 오픈한다는 점이다. 스퀘어한 자세를 하면 폴로스루를 부드럽게 할 수 없거나 동작이 어색해지기 때문이다.
연습법 작은 스윙폭으로 정확히 임팩트한다는 점을 명심하고 바로 앞에서 거리감을 만든다
아마추어의 퍼팅 연습법을 보면 롱퍼트부터 시작하는 사람이 많다. 이것에 나는 동의하지 않는다. 컵에 넣기 위해 당연히 테이크백을 크게 한다. 다음에 좀더 가깝게 붙이도록 친다. 이때 테이크백도 이에 맞춰 작게 하면 좋은데, 대개 무의식중에 임팩트를 해 거리감을 맞춘다. 그래서는 역효과가 난다. 연습에서는 바로 앞에서 작은 테이크백으로 가능한 정확히 쳐서 컵까지 닿지 않는 스윙폭을 시작하는 것이 정석이다. 정확히 쳐서 넣기 위해서는 스윙폭을 조금씩 크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연습을 하면 임팩트가 느슨해지지 않고 작은 스윙폭으로 정확히 친다는 것을 생각하고 거리감도 파악하게 된다.
임팩트 페이스를 들어주면서 치면 볼이 부드럽게 순회전으로 굴러간다
낮게 당겨 낮게 밀어주는 스트로크가 좋은 볼을 치는 포인트다. 낮게 스트로크하면 페이스가 올라가면서 맞기 때문에 일정한 거리를 굴러간다. 또 부드럽게 순회전으로 굴러가고 런이 좋은 볼이 된다. 런이 좋은 볼은 거의 잔디결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밑에 맞으면 볼이 일순간 점프를 한 후 굴러가기 때문에 런이 나빠진다.
라인대로 런을 시작한 50cm의 방향과 스피드에 특히 주의한다
라인을 읽을 때는 휘어지는 정점을 정하고 이곳까지의 거리를 보낸 다음에 관성으로 굴린다. 다시 말해 2m 정도의 퍼트는 그다지 휘어지지 않는다. 중요한 것은 처음 50cm를 라인대로 보내고 이미지한 스피드로 칠 수 있는지 여부다. 그것이 가능하면 컵인 확률은 비약적으로 올라간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