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는 힘을 빼야 생긴다. 그 비결 4가지 팔로 클럽을 들지 않고 등을 회전하면서 들어준다
또 앞 사람보다 더 잘 쳐야한다는 생각 때문에 긴장한다. 긴 파4홀이나 짧은 파5홀도 투 온 욕심을 부리는 것은 인지상정이다. 단순히 거리를 내야하는 홀인 경우에 힘이 들어간다. ● 이때 실제로 어디에 힘이 들어간 것일까. 물론 다양한 경우를 생각해야하는데, 대부분은 양팔에 힘이 들어간다. 볼을 멀리 보내려는 생각을 하는 순간, 양팔에 힘이 들어가고 만다. 팔에 힘이 필요이상으로 들어가면 헤드스피드를 낼 수 없기 때문에 볼을 멀리 칠 수 없다. 이런 경우에 클럽을 강하게 휘둘러도 샤프트의 탄력을 이용할 수 없다. 힘을 주지 않고 거리를 내기 위해서는 클럽의 기능을 최대한 살려서 휘둘러야만 보다 헤드스피드를 올릴 수 있다.
우선 백스윙을 할 때는 톱 스윙에서 턱 밑까지 상체를 회전시켜 파워를 축적한다. 등을 의식한 스윙을 하면 가능하다. 백스윙에서 왼쪽어깨 등뼈 안쪽을 펴고 턱 밑으로 왼쪽어깨가 올 때까지 충분히 몸을 회전한다. 그래야 스윙아크를 크게 할 수 있고 보다 헤드스피드를 올릴 수 있기 때문에 비거리도 늘어난다.
우선 톱 오브 스윙 자세를 만들 때 누구나 클럽헤드를 당겨 올린다. 처음에는 어렵다. 그렇다고 무리하게 몸이 아플 정도로 당기지 않는다. 반동이 생기지 않고 서서히 펴지는 느낌이 들 때까지 당기는 것을 반복해 운동 영역을 넓힌다. 문현희 연속스윙
다운스윙에서 왼쪽어깨를 마지막에 움직인다
스윙에서 몸을 움직이는 순서를 잘못하면 부드럽게 근육을 이용할 수 없으므로 주의해야한다. 가장 흔히 일어나기 쉬운 미스는 다운스윙에서 허리와 상체를 동시에 움직이는 일이다. 등뼈 중앙을 의식하면서 백스윙을 할 때에 회전이 커진다. 그런데 그런 회전동작으로 파워를 축적할지라도 클럽헤드가 볼을 맞히기 전에 축적된 파워를 모두 소진해버렸다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 등뼈 중앙을 의식하면서 부드럽게 사용해도 어느 정도 힘을 남겨두어야 허리와 상체를 움직이기 쉽다.
따라서 다운스윙에서 하체가 먼저 움직이고 상체를 좀 더 늦게 어드레스 위치로 되돌리는 동작이 이상적이다. 다운스윙에 들어갔을 때 등 뼈 중앙 근육을 사용한다면 톱 오브 스윙에서 하체부터 움직인다. 먼저 하체부터 회전하면 자연스럽게 왼쪽어깨가 마지막에 움직인다. 이때 톱 오브 스윙에서 클럽이 내려오는 순간에 약간의 여유를 가져야 한다. 왜냐하면 클럽과 몸 사이의 예리한 각도가 만들어져야 임팩트 순간에 파워를 볼에 실어줄 수 있기 때문이다. 볼을 때리려는 욕심 때문에 상체가 앞으로 무너지면 예리한 각도를 만들 수 없으므로 주의하라.
그러려면 오른쪽무릎을 안쪽으로 넣으면서 클럽을 끌어내린다. 이론을 알고 연습을 집중적으로 하면 프로 처럼 여러분도 적은 힘으로 볼을 멀리 보낼 수 있을 것이다. 이선화 연속스윙
임팩트에서 폴로스루까지 머리와 클럽헤드는 잡아 당긴다
시계추가 높은 위치에서 내려와 역방향으로 움직이는 상태에서 시계추가 움직이는 것과 반대 방향으로 손을 움직이면 시계추 부분이 순간적으로 가속된다. 이 동작을 골프에도 응용할 수 있다. 물론 스윙축이 움직일 정도로 머리를 움직여선 안 된다. 임팩트에서 폴로스루까지 축의 중심인 머리를 순간적으로 클럽헤드가 움직이는 방향과는 반대로 움직여야 클럽헤드는 가속된다. 임팩트에서 멈추지 않고 폴로스루에서 클럽헤드를 가장 빠른 속도를 내면 볼은 멀리 날아간다.
그것보다도 머리를 순간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편이 헤드에 속력을 낼 수 있다. POINT
실제로 임팩트 직후에 양팔이 펴진 다음에 왼쪽팔꿈치는 구부러진다. 그러면 스윙아크는 커진다. 일반적으로 스윙은 원운동이고 톱과 피니시 위치는 좌우대칭에 가깝다.
여유 있게 휘두르는 것이 좋다. 몸의 리듬으로 스윙한다
멀리 장타를 날리고 쉽다고 너무 성급하게 휘두르면 미스가 생긴다. 실제로는 그런 미스는 성급한 동작을 하기 때문에 생긴다. 지나치게 천천히 휘둘러야 한다는 생각을 할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사람에 따라 이상적인 리듬이나 템포가 다르기 때문이다.
보통 일상생활에서 성급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무의식중에 빨리 걷는다. 역으로 느긋한 사람은 느린 속도로 걷는다. 이처럼 일상생활에서도 자신의 템포는 존재한다. 즉 무의식중에 자신이 행동하고 있는 템포가 곧 자신의 리듬이기 때문에 골프할 때만 이를 무리하게 바꿀 필요는 없다. 성급한 성격이라면 빨리 휘두르고 느린 성격이라면 좀 더 빨리 휘두른다. 이것이 그 사람에게 맞는 템포다. 일상적인 자신의 리듬까지 달리해 천천히 휘두르면 더욱 미스할 확률이 높아진다.
물론 헤드스피드가 빠┝値?볼은 멀리 날아간다. 비거리 증가를 원한다면 스윙 밸런스를 유지한 범위에서 최대의 헤드스피드를 내야한다. 그러나 그것은 자신만의 리듬과 타이밍으로 휘둘러야 한다.
|
'골 프 > 드라이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정확한 임팩트 최고의 샷이다, (0) | 2009.03.19 |
---|---|
[스크랩] 드라이버 비법-펀치 샷 (0) | 2009.02.11 |
미셀위 드라이버 스윙플레인 (0) | 2008.11.20 |
[스크랩] 드라이버의 기본 (0) | 2008.11.17 |
[스크랩] 드라이빙 ④ 펴진 채 올라가기, 던져 주기! (0) | 2008.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