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에서 캡처한 아래 분석 사진은
어니엘스와 미쉘위의 드라이버 스윙 동영상을 동시 편집한 것으로
두 프로의 메인회전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식해 놓은 것이다.
- 흰색 점선 : 백스윙 탑에서의 체중의 중심
- 노란 실선 : 메인회전축으로 임팩시의 체중의 중심이자 회전의 중심 축
- 파란 점선 : 볼이 놓여 있는 위치
그림에서 도식해 놓은 3개의 선이 의미하는 것을 설명하고, 메인회전축을 제대로 이해해 보자.
* 어드레스의 분석 : 파란색 점선은 볼이 있는 위치를 표시하고 있다.
- 다운스윙시의 메인회전축이 될 노란색의 위치를 가슴 및 머리의 위치와 비교해서 눈여겨 보자.
- 동영상에서 대충 보면 둘 다 비슷한 스윙을 하고 있는 것 같지만,
자세히 도식화 해 보면 서로 약간 다른 점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 백스윙 탑 분석 : 흰색 실선은 백스윙 탑에서의 체중의 중심을 의미한다.
- 어니엘스의 경우 체중의 중심이 볼에서 약 20~25cm정도 오른발쪽에 위치해 있으며,
미쉘위의 경우는 30~35cm정도 오른발쪽에 위치해 있다.
어니엘스는 다른 일반 프로들 보다는 백스윙 체중이동을 좀 적게하는 프로에 속하는 편이다.
* 다운스윙 전환동작 직후 분석 : 현재 체중의 중심이 백스윙탑에서의 체중중심인 흰색 점선 보다
앞(왼발쪽)으로 이동되어 메인회전축을 표시하는 노란색 실선까지 와 있음을 볼 수 있다.
* 임팩 분석 : 노란색 수직 실선이 메인회전축을 의미하는 것이며,
양어깨의 중심에 위치한 선으로 가슴 중앙 부위로 보면 된다.
- 어니엘스의 경우 15cm정도 볼 뒤쪽(오른발쪽)에 위치해 있고,
미셀위의 경우는 20~25cm 정도 볼 뒤쪽에 위치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머리의 위치를 보면 메인회전축인 노란색 수직실선 보다 더 뒤쪽(오른발쪽)에 위치해 있어서
(머리의 위치는 볼보다 30~40cm정도 뒤-오른발쪽-에 있음)
임팩하는 볼을 타겟(왼쪽) 방향으로 내려다 볼 수 있게 된다.
- 백스윙 탑 대비 전환동작/다운스윙 초기에 약간(10cm정도) 체중이동 한 것을 볼 수 있다.
- 메인회전축을 잘 유지하고 있어 왼쪽 어깨라인이 임팩시의 어깨라인과 거의 같음을 알 수 있다.
(어드레스와 비교하여 파란색 점선을 어깨라인과 비교해 보라.)
- 양 손의 위치는 어드레스 때 보다 앞(왼발 쪽)에서 임팩을 하고 있다.
- 미쉘위의 볼이 어니엘스보다 높은 비행궤도를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upper-blow)
* 팔로우쓰로 분석 : 메인회전축(노란실선)이 팔로우쓰로 때까지 그대로 유지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 메인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면서 스윙을 하기 때문에 스웨이를 하지 않고 있다.
- 오른팔은 곧게 잘 펴져 있으며,
- 머리의 위치는 임팩 때와 거의 같은 위치에 있으며,
상체의 회전에 의해 머리도 약간 회전하고 있다.
* 피니시 분석 : 팔로우쓰로 때까지 정위치에서 회전하던 메인회전축은 역할을 다하고,
자연스럽게 일어서서 편안하고 안정된 자세를 취하고 있다.
* 전체 사진을 연결해서 봄으로써 메인회전축을 한 번 더 확인해 보면 더 좋은 이미지를 갖을 수 있을 것이다.
어드레스시에 미리 설정한 메인회전축이 전환동작이후부터 임팩,팔로우쓰로 단계까지
정위치에 고정된 채 회전의 메인중심축으로서의 역할을 아주 잘 하고 있음을 확인해 보자...
자신의 스윙을 동영상으로 찍어 메인회전축 위치와 비교해 보도록 하자...
'골 프 > 스윙 이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스윙 (0) | 2009.09.09 |
---|---|
[스크랩] 어니엘스 스윙 (0) | 2009.04.16 |
[스크랩] 신지애 프로 (Shin, Ji Yai) 연속스윙 (0) | 2009.03.19 |
[스크랩] 위에서보는 스윙 (계속보시면 스윙이 좋아진답니다^^) 김쌤추천 ㅋ (0) | 2009.02.17 |
온고이지신/벤 호건의 스윙 (0) | 2008.10.31 |